그 시절 우리가 사랑한 게임

한때 보드게임긱 100위권에 있던 게임을 소개합니다

2025-01-15
2526

 

보드게임을 제대로 취미로 삼으신 분들이라면, 아마 여러 보드게임을 돌아가며 즐겨 보셨을 겁니다. 유명한 게임은 이미 섭렵하셨겠죠. ⟨테라포밍 마스⟩는 기본이고, ⟨푸에르토리코 1897⟩이나 ⟨도미니언⟩ 같은 고전 명작 게임은 당연히 하셨을 겁니다. 그러면서 지금 핫한 게임도 즐기셨을 테고요. 구매해서 소장하는 게임도 하나둘 늘어나고 있으시겠죠? 그러면서도 이렇게 생각할 겁니다.

 

“또 어떤 새 게임을 해 볼까?”

 

아직 즐기지 못한 게임을 책장에 놓아두고서도, 혹은 지금 막 새 게임을 사고 있을 때조차도 우리는 새로운 게임을 추구합니다. 그러나 이제 막 보드게임의 참맛을 느끼게 된 분들이라면 다른 보드게임 애호가들이 섭렵해 왔던 적지 않은 게임을 아직 접해보지 못하셨을 듯합니다. 

 

누군가에게는 한때의 명작이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게임일 수 있기에, 그런 게임 4편을 소개해 드립니다.

 

이번에 소개할 게임은 전 세계 보드게이머가 모이는 보드게임긱 사이트 순위로 100위 이내에 든 적이 있던 작품입니다. 지금 순위는 다소 내려갔다고 해도 분명 한때 많은 사람들에게서 인정을 받았던 게임이란 뜻입니다. 그 게임에 호평을 준 사람들의 평을 통해 게임을 알아봅니다.

 

 


 

 

 

 

아를의 평원

만 14세 이상 | 1~3명 | 60~180분

 

 

2014년작 ⟨아를의 평원⟩은 이미 현재 순위가 86위로 100위권 안입니다. 최고 순위는 2016년에 도달한 48위로, 그때부터 지금까지 9년이 지나도록 100위권을 지키는 수준의 게임이죠. 게임 시간이 2시간 가까이로  2명 게임치고는 긴 편입니다. 빅 박스에 포함된 ⟨차와 교역⟩ 확장까지 더해 즐기면 최대 3명까지 게임을 할 수 있습니다.

 

우베 로젠베르크 작가의 그 유명한 수확 3부작에 비해 여유로운 게임 플레이가 특징적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사람들의 평가에서도 압박감 없는 플레이를 특히 높이 사는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 유저 리뷰 살펴보기 ◆

mrgeneraldude(9.5)

Our #3 game, and our game of choice when we want a longer gaming session with less pressure and a lot of options to explore. This is a game that is great for unwinding at the end of a busy day, talking with your partner and just exploring interesting new strategies. There is a healthy level of competition between players, but the strategies and paths to victory are so varied that you can still find a way to stay in the race even when the other player nabs that key building you had centered your strategy around. Great game!

우리의 3위 게임. 여러 탐험 요소를 두고 큰 압박 없이 긴 게임을 즐기고 싶을 때 꺼낸다. 바쁜 하루를 마무리지으면서, 파트너와 대화를 나누고 흥미로운 새 전략을 즐기기에 최적이다. 플레이어 사이의 경쟁 요소는 적당히 있지만 전략과 승리 경로가 굉장히 방대해서, 당신의 전략 중심에 있는 핵심 건물을 다른 플레이어가 가져가더라도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을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아주 훌륭한 게임이다!

 

sloehand (9)

If you are going to play 2 player Uwe, no need to look further. A beast to get through all the rules and understand what is going on, but once you wrap your head around it, it's a breeze. Excellent and cannot wait to play again.

우베 로젠베르크 작가의 2명용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멀리 갈 것도 없다. 모든 규칙을 파악하고 어떻게 게임이 흘러갈지 이해하는 데 공이 꽤 들지만, 일단 머리에 넣고 나면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 또 플레이할 날이 기다려지는 멋진 게임.

 

misskitten (8.5)

Very open sandbox type of game, you work to move your dikes, and put the land to use (be it farming, agriculture or constructing buildings). There are way more options to choose than you can realistically do, so it's all about finding out what you want to focus on and go for it. Board switches back and forth between summer and winter, giving you access to different actions the next round than you had the previous. Works really well solo.

굉장히 열린 게임이다. 제방을 옮기고 땅을 활용하는 등의 일(농사나, 경작이나 건물 짓기 등)을 하게 된다.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수준을 상회하는 선택지들이 있기에, 뭘 할지를 정하고 그걸 하는 것이 게임의 핵심이다. 게임판은 여름과 겨울을 오가며, 이전 라운드와 그 다음 라운드에 서로 다른 행동을 하게 된다. 1명용 게임에도 매우 잘 맞다.

 

quietcorn (8)

This is a farming game where one of the action options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your other actions. Each game has a different array of special buildings, and the game is very flexible in terms of how you build your strategy out. Despite having a lot of components, your resource levels are handled by a chart on the side of your board, which really alleviates the fiddilyness that normally comes with this type of game. There's enough player interaction in terms of taking of action spots and handing starting player back and forth, yet you are building your own player board so the game feels incredibly satisfying.

이 농사 게임에서 행동 선택지 중 하나는 다른 행동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매 게임은 특별한 건물이 서로 다르게 나열된 채로 진행되며, 당신이 어떤 전략을 갖출지를 매우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다. 구성물이 굉장히 많지만 개인판 옆의 도표로 자원 수준을 관리하기에, 이런 류의 게임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번거로움이 상당히 줄어든다. 행동 칸 선택이나 시작 플레이어를 주고받는 식으로 플레이어 상호작용이 발생하긴 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자기 게임판을 만들어갈 수 있기에 굉장히 만족스러운 느낌을 주는 게임이다.

 

 


 

 

 

 

북해의 침략자

만 14세 이상 | 2~4명 | 60~80분

 

 

2015년 작품 ⟨북해의 침략자⟩의 현재 순위는 118위입니다. 2019년에 87위에 올라갔네요. 순위 상승 스타트가 살짝 늦은 감이 있는데요, 2018년에 멘사 셀렉트로 선정되고 2019년 Gouden Ludo 최고의 패밀리 게임상 수상, 네덜란드 게임상 최고의 전문가 게임상 수상 등의 호재가 이어지기 전부터 상위권 궤도에는 올라섰습니다.

 

패밀리 게임상과 전문가 게임상을 각각 수상했다는 것만 봐도 좀 독특한데요, 2.56이라는 긱 웨이트는 ⟨윙스팬⟩의 2.47을 살짝 웃도는 수준이라 엇비슷한 정도로 보면 되겠습니다. 전문가 게임이라고 보기에는 살짝 쉬운 난이도로 진입 단계 게임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가필 게임즈에서는 북해 시리즈 3종을 냈는데, 2014년작 ⟨북해의 조선공⟩, 2016년작 ⟨북해의 탐험가⟩보다 확연히 높은 평가를 받으며 주목받았습니다. 

 

◆ 유저 리뷰 살펴보기 ◆

 

Bonham R (10)

If you are a worker placement fan and you like the Viking theme, just stop reading and go buy this. The worker placement function is unique and losing members of our crew (them dying) can be... are you sitting down... actually useful! The way the resources are laid out on the board, to the side, and used is near genius. The limits on how many resources you can hold at once keeps anyone from hogging anything. There are multiple ways for the game to end. The mechanics are fairly simple, but do leave you really thinking about your next three or so moves up front. This game also plays well with only two players (2-4 player game).

일꾼 놓기 게임의 팬이고 바이킹 테마를 좋아한다면 일단 살 것. 일꾼 놓기 메커니즘이 독특한데, 일꾼을 잃는 것이, 놀랍게도 유용하다! 자원이 게임판 위에 놓이고 사용되는 방식은 천재적이다. 보유할 수 있는 자원의 제한 때문에 독점이 일어나지 않는다. 게임 종료 방식도 다양하다. 메커니즘은 꽤 간결하지만 다음 세 수 정도는 생각해 둘 여지가 있다. 2~4명 게임인데도 2명 게임이 잘 돌아가는 점도 인상적이다.

 

wilfbiffherb (9)

I really love playing this game, especially with both expansions. It really just hits the perfect spot for a worker placement game with my wife and I. Being restricted to what spots you can go to based on your pawn colour, and needing the right resources to go out on raids is really fun, along with curating your hand and building a crew to match your current needs. We just really enjoy this one.

이 게임은 특히 확장 둘을 모두 넣고 할 때가 좋다. 아내와 내 취향에 완벽하게 딱 맞는 일꾼 놓기 게임이다. 자기 말 색깔에 따라 갈 수 잇는 곳에 제한이 주어지는 점, 침략을 나가기 위해 적절한 자원이 필요한 것 등이 정말로 마음에 들고, 손을 조절하고 당장의 필요에 맞게 일꾼을 구성하는 것도 좋다. 

 

SochaDJ (8.5)

Well beyond gateway but not complex. The decision making is beyond a gateway game. It feels like a VP race to build your engine to be able to get to the larger VP opportunities. The player cards are aesthetically beautiful and their powers are written succinctly and clear. Very clever solo deck of cards that pushes you for raiding and other VP opportunities. It simulates another player by pacing the game play from low hanging fruit raiding opportunities and VP god offerings to an end progression of raiding fortresses. Losing armor when encountering Valkyrie tokens was genius to extend the automa play time.

입문용 게임은 훌쩍 넘어섰지만 복잡한 게임은 아니다. 판단해야 하는 수준은 입문용 게임 정도를 넘어섰다. 승점을 더 크게 얻기 위해 자신의 엔진을 구성하는 승점 달리기 게임 같다. 플레이어 카드는 예쁘며, 능력이 간결하고 명확하게 적혀 있다. 1명용 게임덱은 침략 및 승점을 얻을 여타의 기회를 하게끔 영리하게 압박을 가한다. 쉬운 침략 기회와 승점 제공에서 시작해 후반으로 가면 요새를 침략하는 수준으로 나아가는 또 다른 플레이어를 상정해 두었다. 발키리 토큰과 조우할 때 방어력이 줄어드는 것은 오토마의 플레이 시간을 확장해 주는 천재적인 방식이다.

 

lydonjp (8)

I really like the game. the cards are interesting. At first you may think you need to be overpowered for the raids but in reality I think you should try and do them ASAP after bulking up on resources and really you won't pay much of a penalty. You do need to watch that you don't completely drain your coins and provisions though after each raid otherwise you'll spend two turns trying to build that up again while others surpass you. Overall a very good game. I see BGG weights it as 2.56/5 which I think is a bit high. I would say its comfortably a low 2 (~2.25) weighed game.

카드가 흥미롭다. 처음에는 침략을 하기 위해서 압도적인 힘을 키워야 할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자원을 적당히 비축해서 최대한 빠르게 침략을 나가는 게 좋다. 그래도 페널티가 크지 않을 것이다. 다만 침략을 할 때면 돈과 식량이 완전히 동나 버리는 일이 없도록 신경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걸 다시 비축하는 데에 두 차례는 써야 할 것이고, 그 동안 다른 이들이 당신을 따라잡을 것이다. 전반적으로 매우 훌륭한 게임이다. 긱 웨이트가 2.56으로 나와 있는데, 내 생각엔 실제보다 좀 높게 잡힌 거 같다. 2 내지 2.25 정도로 보면 맞지 않을까.

 

 


 

 

 

 

롤 포 더 갤럭시

만 14세 이상 | 2~5명 | 45분

 

 

토마스 리먼 작가는 자기 작품 목록 중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레이스 포 더 갤럭시⟩의 변형 게임을 여러 가지 발표했습니다. ⟨롤 포 더 갤럭시⟩는 그 중 하나로, ⟨뉴 프론티어⟩나 ⟨점프 드라이브⟩에 비해 눈에 띄게 좋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죠. 이 2014년 작품의 현재 순위는 154위, 2016년에는 무려 30위에 오른 작품입니다. 그래프만 봐도 가파른 순위 상승이 눈에 보이는데요.

 

적당한 플레이 시간에 웨이트도 2.78로 ⟨북해의 침략자⟩와 비슷한 정도에 해당합니다. 주사위를 굴리고 그것을 조절하는 재미에 관한 평가가 주를 이루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 유저 리뷰 살펴보기 ◆

 

Farwalker (10)

I love this game. It is one of my only two 10-rating games on this site for a reason (or a whole host of them). It hits (almost!) all my checkboxes: You have a 'building' mechanic (dice in this case). / You have clever resource management. / Variable powers that can be supplemented via building. / Just enough randomness to keep it unsolvable (dice) but enough ability to fix the process to keep you from being frustrated. And it's science fiction themed. I love it. The only ways this could be better would be if it were also somehow a co-op.

너무 좋아하는 게임. 이 사이트에서 내가 10점 준 단 2개 게임 중 하나. 내가 좋아하는 게임 포인트를 (거의!) 다 갖췄다: '빌딩(구성하기)' 메커니즘이 있음(이 게임에서는 주사위). / 자원 운용 부분이 잘 디자인되어 있음. / 다양한 능력이 건설을 통해 뒷받침됨. / 뜻대로 풀리지 않는 무작위성(주사위)이 있긴 해도 게임을 진행하면서 조절해 나갈 여지가 있음. 그리고, 난 SF 테마가 좋다. 협력 모드도 있다면 더 좋겠다.

 

laexpls (9)

What a great game! A strategic dice chucker.. who could have imagined? Love the theme, the different strategies and the passive interaction because of the chosen phases. I'm not sure if I would want to play it with 5 players but it's awesome with 2-3 players. Even after nearly 20 plays it's as good as in the beginning. I love it! Surely one of my all time favorites. The expansions are also amazing.

훌륭한 게임! 전략적 주사위 게임이라니. 테마도 좋고, 서로 다른 전략도, 단계 선택에 따르는 수동적 상호작용도 좋다.  5명 게임은 그렇게 끌리지 않지만 2~3명 게임은 아주 좋다. 거의 20번 즐겼는데도 처음 할 때처럼 좋다. 확장도 아주 굉장하다.

 

frotes (8.5)

Great dice version of race for the galaxy. It's different in ways but the feel is very much the same. Many people prefer this game over race and I can see why. The game plays fast with simultaneous selection and is easier to get into than race. It also plays well with 2-5 where as race is more of a 2p and possibly 3p game. The development abilities are more streamlined and simple. The worlds all do pretty much the same thing, give dice of a color + some bonus. Increasing rating for Ambition expansion, new dice and worlds are awesome. Powerful dice help start up the game faster and certain strategies.

⟨레이스 포 더 갤럭시⟩의 훌륭한 주사위 버전. 방식은 다르지만 느낌은 상당히 비슷하다. 많은 사람들이 이 게임을 ⟨레이스 포 더 갤럭시⟩보다 선호하는 이유를 알겠다. 동시 선택으로 게임이 빨리 진행되고 게임을 이해하기가 더 쉽다. 2~5명 중 어떤 인원에서든 매끄럽게 진행된다. 개발 능력은 좀 더 간결하고도 매끄럽게 되었다. 세계는 대부분이 어떤 색깔 주사위와 일부 보너스를 제공하는 정도로 거의 같다. ⟨끝없는 야망⟩ 확장의 새로운 주사위와 세계가 멋져서 평점을 올린다. 강력한 주사위가 게임 자체부터 특정 전략까지 빠르게 갖춰지도록 만들어 준다.

 

cbazler (8)

A wonderful reimplementation of another very good game. It doesn't really feel like a dice game (any more than, say, Castles of Burgundy feels like a dice game). The dice just give you options, and if you don't like your options, there are ways to change them. Some of the development powers are incredibly powerful, and certain combos can occasionally result in a runaway leader. But the game is short and light enough that it doesn't bother me. It just means you can play again!

아주 좋은 게임의 굉장한 이식작. (⟨버건디의 성⟩ 같이 주사위 게임스러운 게임에 비하자면) 주사위 게임 같은 느낌이 덜하다. 주사위는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뿐이며, 그 선택지가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그걸 바꿀 방법들이 있다. 개발 능력 중 일부가 놀랍도록 강력하고, 특정 콤보가 가끔 따라잡기 어려운 선두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그렇지만 게임이 짧고 가벼워 단점을 상쇄한다. 새 게임으로 도전해도 되니까!

 

 


 

 

 

 

디 마허

만 14세 이상 | 3~5명 | 240분

 

 

이 게임은 특별히 추가했습니다. 무려 1986년 작품인데요. 보드게임긱에서 게임 랭킹 히스토리 시스템이 도입된 것이 2006년 정도로 보입니다. 그래서 그보다 이전 작품은 이 순위에 어느 정도 안착된 상태에서 시작하는데요. ⟨디 마허⟩의 바로 이 시점 순위는 무려 7위입니다. 1963년 작품인 ⟨어콰이어⟩의 이 시점 순위가 52위였고, 2002년작 ⟨에이지 오브 스팀⟩이 9위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 시점 1위가 바로 다름아닌 불후의 명작 ⟨푸에르토리코⟩입니다. 

 

그래서 순위 차트에서도 제가 이 게임이 100위권 밖으로 밀려난 시점을 캡처했습니다. 무려 2015년까지 100위권 안에 있었던 겁니다. 리뷰에서도 “이 게임이 1986년작이라고?”라는 말을 많이 볼 수 있고, 시대를 앞선 작품이라는 평가도 보입니다.

 

비교적 최근에 게임을 즐긴 이들의 리뷰에서는 최신작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는 평들이 보였기에, 이러한 평을 찾아서 보여드립니다. 비록 웨이트는 상당히 높은 게임이지만 그만큼 높은 상호작용이 따르는 게임이라는 걸 짐작해볼 수 있겠지요.
 

 

 

◆ 유저 리뷰 살펴보기 ◆


sviney (10)

This game is an absolutely wonderful blend of long term strategic thinking mixed with quick tactical ploys to take advantage of unplanned situations (or unexpected setbacks). With opinion polls, bribes and political backstabbing, the theme merges with the mechanics quite well. Like a real election, you're never quite sure who is going to win until the last vote is counted.

이 게임은 멀리를 내다보는 전략적 사고와, 예기치 못한 상황(혹은 돌발적인 문제)을 이용하기 위한 재빠른 전술적 책략이 잘 조화된 대단히 훌륭한 게임이다. 여론 조사, 뇌물, 정치적 배신 같은 요소들이 있는데 테마와 메커니즘이 굉장히 잘 결합되어 있다. 실제 선거에서와 같이, 마지막 투표를 집계하기 전까지 누가 이길지 장담할 수 없다.

 

kameronsnewphone (9)

Zero downtime, thematically sensible ruleset, plenty of interactive options to cooperate, negotiate, blackmail, and bury the leader, and the public opinion polls and shadow cabinet cards were particularly fun and exciting. 5 rounds felt just right to me length wise. Contribution cards have a very unique dilemma involved in estimating their value mid game. Forced coalitions are super exciting too, even when they exist only as a possible threat without happening. Compared to other similar games like hegemony, dominant species, or tammany hall, this has the most exciting moments, and the ruleset that most directly supports a variety of interactive moment with other players. It could be my favorite above the others eventually. I don't see anything wrong with 4 player yet. But a 5th would be welcome obviously.

다운타임이 전혀 없고, 테마에 잘 맞는 규칙, 협력이나 협상이나 협박이나 대표 매장 등등 상호작용 옵션이 풍부하고, 공공 여론 조사와 그림자 내각 카드와 같은 것이 특히 재미있다. 내가 느끼기에 5라운드라는 길이도 적당하다. 공헌 카드는 게임 중반부에 가치를 평가하는 것과 관련해 굉장히 독창적인 딜레마 요소가 있다. 강제 연합은 실제로 하지 않고서 하는 위협용만으로 충분히 흥미진진하다. ⟨헤게모니⟩, ⟨도미넌트 스피시즈⟩, ⟨태머니 홀⟩과 같은 비슷한 게임들과 비교해 볼 때 이 게임이 굉장히 흥미로운 장면을 선사하며, 다른 플레이어와의 다양한 상호작용 순간을 규칙이 잘 뒷받침한다. 4인 게임도 굉장히 잘 돌아갈 것 같지만 5명이 할 때가 확실히 좋을 것 같다.

 

Desiderata (8)

Heavy Euro. Hard to believe this game was published in 1986. I imagine it will be considered a classic, as it is that good! Theme fits well with the mechanics. Drawback is the length and learning curve. Almost no downtime for any player--engaging throughout. So many strategies and ways to victory. Fun, exciting game!

헤비 유로 게임. 1986년작이라는 게 믿기지 않는다. 고전 명작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좋다! 테마와 메커니즘이 잘 맞다. 게임이 길고 배우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 아쉬운 점. 내내 치열하게 전개되며 다운타임이 거의 없다. 전략도 승리를 향한 길도 상당히 많다. 아주 흥미진진한 게임!

 

lucyfer (8)

Highly interactive, tough resources management game - resources being stuff like politicians, media control, and money, not the usual stone , wood, gold, ore etc ... Judging by the theme (winning votes in several federal states) you'd expect quite a "dry" game, but it's not, rather thrilling. Don't remember the original game in details, but I'd think this enhanced version is just what it needed to be a really great game.

상호작용이 상당하다. (보통 게임의 돌, 목재, 금, 광석 같은 것 말고) 정치인, 미디어 통제, 돈과 같은 자원 관리가 빡빡한 게임. 여러 연방 주에서 표를 얻는다는 테마만 보면 꽤나 딱딱한 게임일 거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아주 짜릿한 게임이다. 원작 게임의 세부 사항이 기억나지는 않지만, 새 판본이 정말로 좋은 게임이 되는 데 필요한 요소는 제대로 갖췄다고 생각한다.

 

 


 

 

게임을 디자인하는 사람은 이 게임을 누군가는 웃으면서 하리라는 믿음을 갖고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보드게임긱 순위와 상관없이 즐거운 시간을 만들어준 게임들을 우리는 다들 여러 편 떠올릴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세상에 너무나 많은 게임이 나와 있으니, 이러한 순위를 하나의 지표로 삼아 볼 수도 있을 것이고요.

 

이번 글이 여러분이 미처 생각지 못했던 좋은 작품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도 또 다른 시각에서 좋은 게임을 선별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글: 신성현

    댓글 (총 0 건)

    12

    /

    30